본문 바로가기
업무 정보

배터리 CC-CV 충전 CC방전 [2차전지 용어]

by 개고미 2021. 5. 26.
반응형

2차 전지 관련 회사 중 후공정 회사에 입사를 하게 된다면, 회사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익숙하지 않아 자주 사용하는 단어와 내용에 대해 알아두면 업무에 도움이 된다. 오늘은 2차 전지 배터리 회사에서 사용하는 CC-CV충전과 CC방전에 관련된 내용을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자.

 

CC-CV충전 모드와 CC방전 모드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우선 2차 전지를 왜 충전과 방전을 해야 하는지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자. 배터리(=셀, Cell )를 만들면 초기에 생산이 된 셀은 전압이 없는 상태의 버진 셀 ( 0V )의 셀로 생산이 된다.

해당 버진셀에 충전을 해주면 셀 내부에서 활성화가 되어 전압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충전과 방전 공정들을 여러 번 진행하고 최종적으로 출하를 하게 되는 것인데요.

이때 CC CV충전과 CC방전이라는 용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

 

 

 CC-CV충전

  간단하게 우리가 충전을 한다고 생각을 해보겠습니다. 충전을 하게 된다면 어떤 조건들을 우선 생각을 해야 될까요?

  • CC 조건 : CC (=Constant Current ) 일정한 전류인 정전류를 의미하며, 간단히 말해서 몇 A [암페어]로 충전을 할 것인가를 의미하는 조건입니다.
  • CV 조건 : CV (=Constant Voltage )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여, 몇 V [볼트]의 전압으로 유지를 하는 것을 조건을 의미합니다.
  • 전류 Cutoff 조건 : 충전 시 몇 A 일 때 공정을 종료하는 조건을 의미합니다.

쉽게 이야기를 하면, 충전 공정이 시작이 되면 세팅한 전류[A]가 배터리[셀]로 충전을 하게 됩니다. 전류가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셀에 투입이 된다면 해당 셀의 전압은 점점 상승을 하겠되는데요. 계속 전류[A]를 줄이지 않고 충전을 한다면 셀은 언젠가는 터져버리겠죠.

 

그렇기 때문에 일정 전압이 되면 해당 전압을 유지하도록 충전 공정을 진행해줍니다. CV 구간에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려면 전류가 줄어들어야 전압이 유지가 되는데요. 셀의 용량은 한정돼있기에 CV 전압이 유지가 되면서 전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줄어들게 됩니다.

 

결국 지정한 전류값 즉, Cutoff 전류의 조건이 되면 해당 충전 공정은 종료가 되는 셈이죠.

 

cc-cv-charge

출처: researchgatenet

 

 

 CC방전

방전의 경우 충전에 비해서 더욱 간단합니다.

  • 전류 조건 : CC (=Constant Current ) 일정한 전류(A)로 방전
  • 전압 Cutoff조건 : 공정이 종료되는 전압 Cutoff 조건

충전 공정이 완료된 후 방전 공정이 시작되면 CC방전 공정이 시작됩니다.

일정한 전류로 방전을 시키게 되면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설정해 놓은 Cutoff 전압에 도달하면 공정이 종료가 됩니다.

 

반응형

댓글